분류 전체보기567 스마트팜의 이해 : 해외기업 현황 스마트팜의 이해 : 해외기업 현황 해외에는 많은 스마트팜 스타트업들이 많은 투자를 받아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에어로팜, 피프스시즌, 플랜티, 앱하비스트, 리틀리프팜, 고담그린스, 오이시이팜 등 스마트팜으로 알려진 기업들의 내용과 현황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국내 스마트팜 스타트업들의 방향을 그려보겠습니다. 1. 에어로팜 2004년 설립된 에어로팜은 미국 뉴저지주 뉴아크에 본사가 있습니다. 수경재배를 통한 스마트팜을 운영하고 있고, 토양에서 하는 농업비해 사용하는 물을 최대 95%까지 절약할 수 있으며, '농업분야의 애플'이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습니다. 2021년도에 미국 나스닥시장에서 SPAC을 통한 우회상장의 방법으로 주식 시장 상장을 노렸지만 실패한 바 있습니다. 당시 투자자 대상 PT에서 예상한 .. 2023. 6. 13. 스마트팜의 이해 : 스마트팜을 통해 재배되는 작물의 종류 스마트팜의 이해 : 스마트팜을 통해 재배되는 작물의 종류 현재 스마트팜에서 재배되는 작물은 대부분의 쌈채소와 허브류, 새싹채소류, 과채류 등 비교적 생육기간이 짧고 경제성이 높은 작물이 주로 생산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농촌의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스마트팜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중이고, 농가들도 노동효율성 향상과 소득증대를 위해 스마트팜을 통한 재배작물을 확대시켜 나가는 중입니다. 국내에서 스마트팜을 통해 생산되고 연구되는 작물 종류와 현황을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팜을 통해 재배되는 작물의 종류 가 : 쌈채소 및 새싹류 상대적으로 생육기간이 짧고 가벼운 작물인 상추, 청경채, 치커리, 엔디브, 케일 등의 쌈채소와 새싹채소, 어린잎채소 등 은 현재 스마트팜을 통해 생산되고 있고 확대중입니다. 나. 허브류 등.. 2023. 6. 12. 스마트팜의 이해 : 양액재배의 장점 및 단점, 도입시 고려할 사항 스마트팜의 이해 : 양액재배의 장점 및 단점, 도입시 고려할 사항 양액재배는 노동력 절감이라는 가장 큰 장점이 있습니다. 작물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체계적으로 사업이 진행될 경우 규모의 확대가 가능합니다. 작업환경관리를 통해 깨끗한 환경에서 재배 할 수 있으며, 기업 경영이 가능해집니다. 1. 양액재배의 장점 및 단점 과거의 농업은 넓은 논과 밭에 농부가 씨를 뿌리고, 자라는 동안 비료를 뿌리며, 생육할 때 비료 운반과 수확시 작물을 운반 해야 했고, 제초작업 및 병충해 관리를 농부가 모두 해야 했습니다. 이에 대한 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들었습니다. 농부는 작물의 판매보다는 관리에 더 힘을 쏟아야만 했습니다. 소득은 낮을 수 밖에 없었고, 젊은 농부는 찾아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가. 양액재배의 .. 2023. 6. 11. 이전 1 ···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1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