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42 치매 그리고 알츠하이머 치매 그리고 알츠하이머 치매는 뇌의 기능 손상을 원인으로 기억력, 언어능력, 판단력 등 생활에 필요한 모든 기능이 퇴화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일으키는 다발성 장애를 말합니다. 우리나라 노인 치매환자의 70% 이상이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어 알츠하이머가 치매와 동일하게 인식되고 있습니다. 알츠하이머의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고, 완치할 수 있는 약물도 없지만 현재는 약물로 알츠하이머 증상을 지연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치매란? 치매는 퇴행성 뇌질환 또는 뇌혈관계 질환 등으로 인해 기억력, 언어능력, 지남력(시간, 장소, 사람을 바르게 인식할 수 있는 능력), 판단력 및 수행능력 등의 기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에서 지장을 초래하는 후천성 다발성 장애(치매관리법 제2조 1항)입니다. .. 2023. 7. 4. 신경퇴행성 질환 파킨슨 병 신경퇴행성 질환 파킨슨 병 신경퇴행성 질환의 일종인 파킨슨병은 운동완만, 안정시떨림, 과다굳음 등 운동기능 퇴화 증상이 특징이며, 중뇌의 흑색질중 도파민 분비 조직의 손실이 원인입니다. 유사한 증상을 보이면 파킨슨 증으로 분류하고 원인에 따라 여러가지 병으로 불립니다. 파킨슨병과 같이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분류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알츠하이며병, 루게릭병, 헌팅턴병, 척수소뇌실조증 등이 있습니다. 파킨슨병에 대해 간략히 적어보도록하겠습니다. 파킨슨병 파킨슨병은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운동완만(bradykinesia), 안정시떨림(resting tremor), 과다굳음(rigidity) 등의 증상이 특징입니다. 신경퇴행성 질환은 신경 세포들이 어떠한 원인에 따라 소멸하여 뇌 기능 이상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 2023. 7. 3.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편집기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편집기 유전자 변형에 의한 일부 난치병은 크리스퍼 가위의 발견으로 큰 희망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크리스퍼 가위 역시 완벽하지 않습니다. 유전자를 구성하는 이중가닥을 다 자른 후 엉뚱한 유전자로 교체되거나, 세포가 엉망이 되기도 하여 안전성에 많은 문제가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고 발전하는 프라임 편집기가 2019년에 발표되었고, 2023년에는 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을 연세대학교 연구진이 발표하였습니다. 유전자가위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크리스퍼(CRISPR)는 세포 안의 유전자를 임의로 넣었다가 뺄 수 있기에 유전자의 일부를 제거해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고, 형질의 변경도 가능한 유용한 기술이지만, 완벽한 것은 아닙니다. 엉뚱한 유전자로 교체하거나, 세.. 2023. 6. 25.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