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및 기업86

매출절벽 진단키트 관련주 매출절벽 진단키트 관련주 코로나로 인한 팬데믹이 해제되면서 국내 진단키트 업체들이 매출절벽에 빠졌습니다. 지난 2~3년간 급격한 매출성장을 이뤄냈던 진단키트 업체 상장사 12개사의 매출액은 2022년 1분기 3조 5,483억원 대비 82% 감소한 6,411억원을 달성했습니다. 1. 진단키트 12개 회사의 매출 급감 13개 기업은 펜데믹 상황에서 2022년 1분기 1조3천억원 이상 매출을 달성했던 에스디바이오센서를 비롯해 엑세스바이오, 씨젠, 바이오니아, 녹십자엠에스, 바이오노트, 랩지노믹스, 클리노믹스, 휴마시스, 제놀루션, 수젠텍, 미코바이오메드를 비교하였습니다. 이들의 2022년 1분기 대비 2023년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의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더 심각한 것은 올해 2분기에 코로나 팬데믹이 사.. 2023. 6. 18.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금형을 통한 성형법중의 하나로 플라스틱을 녹여서 금형에 주입시켜 원하는 형태를 만들어 내는 것을 사출성형이라고 합니다. 자동차, 전기전차 및 이동통신, 화장품과 생활용품 기타 일용품까지 플라스틱이 사용되는 대부분의 제품에 사출성형기가 필요하며, 세계적으로 약 22조원 이상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우진플라임과 LS엠트론 등의 기업이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1. 플라스틱 사출성형이란? 금형을 이용한 성형법 중 하나로 플라스틱(합성수지) 등의 원재료 가열후 녹여서 금형에 주입하고 냉각시켜 원하는 모양을 만들어 냅니다. 주사기로 액체를 투입하는 모습과 비슷해서 '사출 성형'이라고 합니다. 가공 과정은 재료의 녹이기, 흘리기, 굳히기, 꺼내기, 마무리 가공의 순서로 이루어 .. 2023. 6. 17.
철강산업의 이해 : 선재생산 철강산업의 이해 : 선재생산 선재는 봉 모양의 열간 압연된 강재로 코일형태의 제품입니다. 둥근 단면을 가지고 있고, 탄소 및 합금성분의 함유량에 따라 보통강 선재 및 특수강 선재로 구분합니다. 교량 등의 와이어로프 뿐만 아니라 건설, 자동차, 기타 산업에 중요한 부품을 만드는 것에 사용되며, 포스코, 코스틸, 고려제강, DSR제강 등 다양한 회사가 생산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1. 선재란? 철강재 중에서 '선재(Wire rod)'는 봉의 형태로 열간 압연된 강재로써 코일형태의 제품을 말합니다. 대부분 단면이 둥글지만, 정방형, 육각형 및 특수한 모양의 이형 선재도 있습니다. 선재의 단면 지름은 5.5~42.0mm 정도로 여러가지 종류가 있지만, 5.5mm가 표준제품입니다. 탄소의 함유량과 합금성분의 함유량.. 2023.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