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및 기업/상장기업

희토류 영구자석 시장규모와 희토류 관련주

by inniable 2023. 10. 19.

희토류 영구자석 시장규모와 희토류 관련주

전기차 모터, 풍력발전기 터빈 등의 핵심부품인 희토류 영구자석 시장규모는 2020년 11.9만톤에서 2050년 75.3만톤으로 6배이상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여기에 사용되는 희토류는 네오디뮴으로 시장의 대부분을 중국이 생산하고 있습니다. 중국과 미국의 갈등으로 희토류 수급에 대한 불안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대체품, 중국이외에서의 희토류 생산 등 다양한 시각으로 희토류 관련주들이 시장에 반응합니다.

 

목차

희토류란?

희토류 관련주

희토류 영구자석 시장 규모

 

희토류
희토류

 

희토류란?

희토류 금속, 희토류 원소, 희토류 산화물 또는 란탄족 원소(란탄족 원소가 아닌 이트륨 및 스칸듐 포함) 등으로 불리는 희토류는 약간의 은백색 광택이 나는 부드러운 중금속 17개를 통칭합니다. 희토류를 함유한 화합물은 전기 및 전자 부품, 레이저, 유리, 자성 재료 및 산업 공정에서 다양하게 응용되고 사용됩니다.

희토류는 상온 대기에서 천천히 변색되고 찬물과 천천히 반응하여 수산화물을 형성하여 수소를 방출합니다. 또, 증기와 반응하여 산화물을 형성하고 400도(752F)의 온도에서 자연 발화됩니다. 희토류와 그 화합물은 박테리아의 란타나이드 의존성 메탄올 탈수소효소와 같은 특수 효소 외에는 생물학적 반응이 없습니다. 수용성 화합물은 약간의 독성을 갖고 있지만 불용성 화합물은 독성이 없습니다.

희토류는 지각 전체에 상대적으로 풍부하게 존재합니다(세륨은 25번째로 풍부한 원소로 68ppm으로 구리보다 더 풍부함). 그러나 희토류를 얻기 위해서는 막대한 양의 원광석을 처리하고 이에 따라 막대한 비용이 투입되어야 하므로 희귀한 지구(rare earth elements)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습니다.

 

희토류 원소 종류

원소번호 원소기호 이름 구성비(ppm) 비율이 비슷한 원소
21 Sc 스칸듐 22 리튬(20), 코발트(25)
39 Y 이트륨 33  
57 La 란타넘 39  
58 Ce 세륨 66.5 구리(60), 아연(70)
59 Pr 프라세오디뮴 9.2 토륨(9.6), 붕소(10)
60 Nd 네오디뮴 41.5  
61 Pm 프로메튬 -  
62 Sm 사마륨 7.05  
63 Eu 유로퓸 2.0 비소(1.8), 주석(2.3)
64 Gd 가돌리늄 6.2  
65 Tb 터븀 1.2 몰리브데넘(1.2)
66 Dy 디스프로슘 5.2  
67 Ho 홀뮴 1.3 텅스텐(1.25)
68 Er 어븀 3.5 세슘(3.0)
69 Tm 툴륨 0.52 아이오딘(0.45)
70 Yb 이터븀 3.2 베릴륨(2.8), 세슘(3.0)
71 Lu 루테튬 0.5 아이오딘(0.45)

희토류중에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네오디뮴(Nd)이며 전체 희토류 소비량 중에서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희토류 관련주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저사양 AI 반도체에 대한 수출 금지에 나서면서 미중 갈등이 또 격해지고 있습니다. 전세계 희토류 공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국은 미국의 조치에 따라 희토류 수출을 통제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희토류 관련 주식들의 시장 반응이 주목됩니다.

 

1. 유니온, 자회사 유니온머티리얼

희토류 대체 소재로 주목받는 페라이트 마그네트를 생산하는 업체입니다.

 

2. 동국알앤에스

희토류 관련 광산을 운영 중이며, 호주 희토류 광산을 보유한 ASM와 2020년 11월 업무협약을 맺은 바 있습니다.

 

3. 디에이테크놀로지

Mn-Bi(망간-비스무스) 페라이트 영구자석 생산라인을 구축하고 상용화할 예정입니다. 최근 생산라인의 성능 검증, 개선을 통해 수요별 요구사항에 따라 맞춤 제작이 가능한 2차 프로토 타입까지 제작에 성공했습니다. 2023년 말까지 생산라인 구축을 마무리하고 내년부터 약 1,000톤 규모의 Mn-Bi(망간-비스무스) 페라이트 영구자석을 생산할 예정입니다.

Mn-Bi 페라이트 영구자석은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된 영구자석으로 340도 고온에서도 자성 특성을 유지하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기존 네오디뮴 영구자석 또는 일반 페라이트 영구자석보다 고온 특성이 우수해 고속 회전 또는 고온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 텔레필드

신소재 사업의 일환으로 해외파트너사를 통해 국내외 수요업체에게 희토류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5. 쎄노텍

희토류 등 광물분쇄기 세라믹비드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고밀도 고강도의 세라믹비드를 이용해 광물을 분쇄하면 아주 작은 입자의 금까지 쉽게 분리가 가능하며 더 많이 채취할 수 있습니다. 광물 채취율을 높이는 필수 산업 소비재입니다.

 

6. 대원화성

2007년 6월 캐나다 몰리브덴 광개발권 지분 21%를 18억원에 인수하였습니다.

 

7. 노바텍

네오디뮴 영구자석을 만들고 있습니다. 중국에 원재료 생산공장 및 자석 조립공장을 두고 있습니다.

 

희토류 영구자석 시장 규모

산업과 일상의 전영역을 통해 전기사용이 급증하면서 모터와 발전기 등의 핵심부품인 희토류 영구자석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1960년대 사마륨코발트 자석과 1980년대 네오디뮴 영구자석이 개발되면서 희토류를 이용한 영구자석은 기존 자석을 빠르게 장악했습니다. 네오디뮴 영구자석은 페라이트 자석의 5~12배에 달하는 강한 자력으로 전자제품, 첨단산업, 방위산업 등의 경량화 효율화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네오디뮴 영구자석은 전기차 모터와 풍력발전 터빈의 핵심 부품으로 수요는 2020년 11.9만톤에서 2050년 75.3만톤으로 6배이상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면 페라이트 영구자석 시장도 AI, 컴퓨터, 스마트폰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분석기관 FMI(Future Market Insights)의 자료에 의하면 페라이트 영구자석 시장 규모는 2030년 5조 원에서 2032년 9조 원으로 연평균 약 5.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희토류 영구자석의 공급망현황과 시사점 한국무역협회 자료.pdf
3.97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