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67

2022 혁신성장 공동기준 : 화학 및 신소재 01 2022 혁신성장 공동기준 : 화학 및 신소재 01 2022 혁신성장 공동기준 : 화학 및 신소재부분 첫번째 글입니다. 매뉴얼에 등록된 품목을 간략히 적고 기록해서 기술의 동향과 정책금융이 어디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화학 및 신소재와 관련된 품목(코드포함)들을 계속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1. 기능성 탄소소재 (코드 : B05001) 탄소소재에 나노기술이 결합되어 기존 탄소소재가 가진 한계를 극복하는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고방열소재 등의 신소재를 말합니다. 이러한 신소재들은 뛰어난 전기적,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특성으로 경량화 및 열전도가 우수하여 자동차, 비행기, 태양전지, 디스플레이 등 고부가가치 제품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가.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2023. 4. 23.
2022 혁신성장 공동기준 : 첨단제조 및 자동화 08 2022 혁신성장 공동기준 : 첨단제조 및 자동화 08 2022 혁신성장 공동기준 첨단제조 및 자동화와 관련한 여덟번째 글입니다. 매뉴얼에 등록된 품목을 간략히 적고 기록해서 기술의 동향과 정책금융이 어디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관련된 품목(코드포함)들을 계속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1. 스마트카 (코드 : A04004) 스마트카는 자동차에 ICT기술 및 AI, 자동제어 등의 기술을 적용, 자율주행, 자율협력주행 등 차체와 주변 상황을 인식하여 운전자 편의 기능 및 안전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을 통칭합니다. 기존 자동차에 컴퓨터, 정보통신 기술이 접목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어 삼성, LG, 현대 뿐만 아니라 애플, 구글, 아마존 등 글로벌 IT대기업들의 참여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 2023. 4. 22.
2022 혁신성장 공동기준 : 첨단제조 및 자동화 07 2022 혁신성장 공동기준 : 첨단제조 및 자동화 2022 혁신성장 공동기준 : 첨단제조 및 자동화와 관련하여 일곱번째 글입니다. 매뉴얼에 등록된 품목을 간략히 적고 기록해서 기술의 동향과 정책금융이 어디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관련된 품목(코드포함)들을 계속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1. 위성 (코드 : A03003) 지구를 공전하는 인공적인 물체를 말합니다. 위성산업은 위성의 제작, 지상 장비, 발사 서비스 뿐만 아니라 방송, 위성통신, 지구관측 및 기상관측, 우주 환경 측정 등 다양한 영역에 위성을 활용한 서비스를 할 수 있습니다. 인공위성 시스템은 위성체(Space Segment), 위성을 목적하는 궤도까지 올려주는 발사체(Launch Vehicle), 위성과 지상의 통신을 위.. 2023.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