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67

구글의 인공지능 구글의 인공지능 챗GPT의 놀라운 성능에 밀려 구글은 인공지능 경쟁에서 뒤쳐진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구글은 이미 오래전부터 대형언어모델 및 생성형 인공지능을 연구해왔고, 그 안정성과 성능을 지속적으로 검증하고 있었습니다. 오늘은 구글이 개발해왔던 인공지능에 대해 간단히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구글의 인공지능 가. BERT 2018년 11월 구글이 공개한 BERT는 자연어(NLP) 처리 딥러닝 모델의 인공지능입니다. 인간의 언어인 자연어 이해를 목적으로 만들었으며, 양방향 학습모델을 모두 지원합니다. 양방향 학습이라는 것은 위키피디아, 도서 등의 언어자료를 통째로 학습하고, fine-tuning을 통해서 특정한 목적에 활용하도록 하는 언어모델입니다. 오픈소스로 만들어져 누구나 사용 가능하고 진화.. 2023. 4. 26.
암과 그 치료법 두번째 암과 그 치료법 두번째 암과 그 치료법에 대한 이야기를 계속하겠습니다. 암 치료에 대해 2세대인 표적항암제로 큰 성과를 올렸지만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암세포가 항암제에 적응한다는 것입니다. 암세포는 빠르고 끊임없이 증식하여 변이속도 또한 빠릅니다. 그래서 한 사람의 몸속에 있는 암세포라 하더라도 서로 조금씩 유전형질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중에는 표적물질을 덜 생산하도록 변이하는 것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1. 3세대 치료 면역항암제 표적항암제를 계속 투여하면 표적물질을 덜 생산하도록 변이를 일으킨 암세포는 살아남아서 계속 증식하게 됩니다. 시간이 지나면 살아남은 암세포 대부분이 표적항암제에 반응하지 않습니다. 이것이 항암제에 대한 2차 내성이라고 하며, 암세포에서 BCR-ABL1 유전자의 변이가 나타나.. 2023. 4. 25.
2022 혁신성장 공동기준 : 화학 및 신소재 02 2022 혁신성장 공동기준 : 화학 및 신소재 02 2022 혁신성장 공동기준 화학 및 신소재부분 두번째 글입니다. 매뉴얼에 등록된 품목을 간략히 적고 기록해서 기술의 동향과 정책금융이 어디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관련된 품목(코드포함)들을 계속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1.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 (코드 : B05005) 진동을 전기에너지로 변화는 성질을이용하는 것으로 어떤 소재로 이루어진 결정판에 일정한 방향에서 압력을 가하게 되면 판의 양면에 외력에 비례하는 전하를 나타내는 소자를 말하며 피에조 전기소자라고도 합니다. 가속도 센서 등으로 응용하고 있으며, 소리를 전기에너지와 상호 변환할 수 있는 원리를 이용해 디스크의 픽업, 마이크로 폰, 스피커, 공진.. 2023. 4.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