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REND/환경

ESG 용어 정리

by inniable 2023. 12. 13.

ESG 용어 정리

ESG는 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의 첫 글자 조합 단어이며 기업이 지켜야 할 친환경 경영, 사회적 책임, 투명한 지배구조를 의미합니다. 지구 환경을 지키고 기후 변화에 대응하며 탄소 중립을 달성하는 등 인류가 정한 목표 달성을 위해 ESG 경영은 매우 중요한 패러다임입니다. ESG 경영과 관련한 이니셔티브, 가이던스, 거버넌스 등 자주 사용되는 용어들을 간단히 정리하고자 합니다.

 

목차

이니셔티브

가이던스와 가이드라인

거버넌스

아젠다

얼라이언스

컴플라이언스

 

이니셔티브

이니셔티브는 일상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미션과 비전과 같은 목표를 가지고 이전과는 다른 특별한 과제나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것을 의미하며, 각 산업군의 글로벌 기업들의 행동 규범 또는 가이드 라인 형태의 자율 규범을 말합니다.

ESG 이니셔티브를 다루는 주요 글로벌 기관 중에서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는 지속가능 경영보고서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비영리기구 입니다. 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는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기상과학을 기반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과 자문 등을 제공하는 기관입니다. UN 글로벌 콤팩트(UNGC),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세계자원연구소(WRI), 세계자연보호기금(WWF) 등이 공동으로 설립했습니다.

 

 

 

가이던스와 가이드라인

가이던스(Guidance)와 가이드라인(guideline)은 비슷한 개념으로 볼 수 있지만 구체적인 제시 측면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가이던스는 ESG 경영의 실천적 측면에서 주로 정보공개에 대한 표준이나 공개 방법을 조언하는 것이며, 가이드라인은 다양한 ESG 분야의 정책과 규정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방안과 지침을 제시합니다.

 

거버넌스

거버넌스(Governance)는 흔히 지배구조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지만 주주, 이사회, 이해관계자 및 회사 관리자를 포함한 다양한 기업 참여자의 권리, 책임, 분배 등 ESG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투명한 의사결정체계로 이해하여야 합니다.

 

아젠다

아젠다(agenda)는 사전적으로 모여서 의논하는 연구대상이나 주제를 의미하며 의제라고도 합니다. 예를 들어 ESG 경영을 실천하기 위해서 탄소중립, 지속가능한 공급, 순환경제 등 어떤 것을 중점적으로 고려하며 실천해야 하는지 등의 내용을 ESG 아젠다로 삼을 수 있습니다.

 

얼라이언스

얼라이언스(Alliance)는 동맹을 맺다라는 뜻으로 각 산업별 또는 기업간 동맹을 말하며 일종의 카르텔로도 볼 수 있다. 대표적인 글로벌 동맹은 RBA(Responsible Business Alliance)입니다.

 

컴플라이언스

컴플라이언스(Compliance)는 법규준수, 준법감시, 내부통제 등을 말하며 기업이 관련 법과 규칙 및 사내 규정 등을 준수하는 경영활동을 의미합니다. 기업이 스스로 관련 법규를 준수하도록 하기 위한 통제의 수단이며 ESG의 G(지배구조) 영역에서 의사결정 과정이나 업무에 법과 규정 등의 준수를 강조하여 윤리적 의사결정과 법규준수 리스크 관리를 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