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REND/환경

삼성물산 등 건설회사 수소에너지 사업 도전

by inniable 2023. 12. 27.

삼성물산 등 건설회사 수소에너지 사업 도전

삼성물산, SK에코플랜트 등 대형 건설회사들이 수소에너지 사업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주택 시장 침체 및 건설 경기 부진에 따라 안정적 수익 확보가 가능한 에너지 사업에 눈을 돌리고 있는 것입니다. 재생에너지 사업 중에서 태양광 발전은 진입장벽이 낮고 진입장벽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소에너지 사업은 시작하기는 어렵지만 일단 구축되면 꾸준한 수익 발생이 가능한 사업입니다.

 

목차

건설회사의 수소사업 도전

삼성물산

SK에코플랜트

현대엔지니어링

한양

건설회사 수소사업 추진 이유

 

건설회사의 수소사업 도전

삼성물산, SK에코플랜트, 현대엔지니어링, 한양 등 건설회사들이 수소 사업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주택 시장 침체 및 건설 경기 부진에 따라 건설회사들은 안정적 수익 확보가 가능한 에너지 사업으로 확장하고 있는 것입니다. 특히 재생에너지 중 수소 관련 사업에서 점차 윤곽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생산방식에 따라 수소에너지는 크게 그레이수소, 블루수소, 그린수소 등 세가지로 분류됩니다.

그레이수소는 석유화학 공정을 통해 발생한 부생수소와 천연가스를 통해 만드는 수소로 생산 단가가 저렴한 반면, 탄소 배출량이 많은 단점이 있습니다.

블루수소는 그레이수소를 개선한 것으로, 그레이수소 생산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저장해 탄소 배출을 줄인 것입니다.

그린수소는 수전해 기술을 통해 생산하며,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 않아 가장 친환경적인 수소입니다.

 

 

 

 

삼성물산

 

삼성물산 그린수소 생산 시설 조감도
삼성물산 그린수소 생산 시설 조감도

 

삼성물산은 2023년 11월 경북 김천시에 오프그리드(Off-grid) 태양광 발전의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하여 그린수소를 생산 시설을 구축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삼성물산은 이 사업을 통해 경북 김천시의 태양광 발전소와 연계하여 일일 0.6톤 그린수소를 생산, 저장, 운송하는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며, 2024년 12월 수전해 설비 등 구축을 완료하고 이듬해년 1월부터 실제 수소를 생산할 예정입니다.

삼성물산은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및 호주 등 글로벌 시장에서 그린수소와 암모니아 생산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세계 최대의 액화수소탱크 설계에 대한 국제 인증을 획득하는 등 그린수소 밸류 체인 글로벌 역량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SK에코플랜트

 

구미 제조공장 내 설치된 130kW 규모 SOEC(고체산화물연료전지) 설비
구미 제조공장 내 설치된 130kW 규모 SOEC(고체산화물연료전지) 설비

 

SK에코플랜트는 한국남동발전과 협력하여 그린수소-그린 암모니아 사업개발을 진행하기로 하고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 업무협약을 통해 UAE와 오만의 그린수소 프로젝트 사업개발과 예비타당성조사를 총괄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SK에코플랜트는 미국 블룸에너지와 수소 연료전지 부품 국산화 및 글로벌 진출을 위한 업무협약도 체결하였습니다. 이 협약으로 SK에코플랜트는 SOFC(고체산화물연료전지) 부품의 국산화 및 국내시장과 국외시장 적용에 회사의 역량을 집중할 예정입니다.


** SOFC(Solid Oxide Fuel Cell) : 수소와 산소의 화학 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로 에너지원인 수소를 통해 전력이 필요한 곳이면 어디서든지 설치와 운영이 가능하여 그린수소 시대의 핵심으로 파악됩니다.

 

현대엔지니어링

 

현대엔지니어링 수소 생산기지 조감도
현대엔지니어링 수소 생산기지 조감도

 

현대엔지니어링은 충청남도 보령에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충청남도 보령시에 하루 1톤 이상의 수소 생산 시설을 갖추고 저장과 운송이 가능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입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총괄설계 및 수전해 설비의 구매, 인허가와 시공을 담당하게 됩니다. 2025년 상반기중에 착공하여 2026년부터 청정수소 생산에 돌입할 계획입니다.

 

한양

 

묘도 LNG터널 조감도
묘도 LNG터널 조감도

 

한양은 블루수소에 역량을 쏟고 있습니다. 2023년 5월 세계 최대의 산업용 가스 생산 기업인 린데(Linde)와 8억 달러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전라남도 묘도 항만재개발 부지에 8억 달러를 투자해 2030년까지 연간 8만톤 규모의 수소생산시설과  열병합발전소, 탄소포집장치, 액화수소변환장치 및 저장 시설 등 대규모 블루수소 생산 클러스터를 만들 계획입니다.

 

건설회사 수소사업 추진 이유

건설사들이 수소 사업에 도전하는 이유는 안정적 수익 확보를 위해서 입니다. 주택 사업 등 건설업이 경기 동향과 시장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많이 받아 상대적으로 안정적 수익 확보가 가능한 청정에너지 사업으로 사업범위를 확장하고 있어서 입니다.

청정에너지 사업 같은 경우에는 일단 기반 시설이 지어지면 시장이나 업계 변화에 영향을 덜 받고 계속 생산만 하면 되기에 건설사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입니다. 진입장벽 자체는 높은 편으로 쉽게 시작할 수 있는 시장은 아니지만 장기 투자로 일단 진입하면 안정적 수익 확보가 예상됩니다. 최근 RE100 등 환경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친환경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특히 그린 수소분야는 많은 기업들이 궁극적으로 도달하고 싶은 에너지원입니다.

태양광의 경우 진입장벽이 상대적으로 낮아 수소의 미래가치가 훨씬 주목받고 있습니다. 다만 그린수소의 경우 당장 상용화가 어려워 지속적인 연구개발(R&D)가 필요하고, 생산 단가 및 발전 단가를 낮출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화이트 수소 개발 현황 및 과제

화이트 수소 개발 현황 및 과제 화이트 수소(White Hydrogen)는 지구에 매장되어 있는 천연 수소를 말합니다. 현재 연료 등으로 사용되는 수소의 약 96%는 그레이 수소(Gray Hydrogen)로 화석연료를 통해

standstraigh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