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259 메타버스, 확장현실, 디지털 트윈 메타버스, 확장현실, 디지털 트윈 몇년간 우리는 코로나 시대를 살면서 가상현실 공간에서 업무회의와 미팅을 하고, 재택근무를 통해 사무실 출근을 하지 않고도 일을 할 수 있는 미래의 삶을 직접 겪어보았습니다. 이 시기에 가장 주목 받았던 가상현실인 메타버스, 확장현실 그리고 디지털 트윈이 어떤 개념인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간략히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메타버스 '메타'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접두사로 '초월한', '넘어서' 등의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메타버스'는 이 '메타'에 'universe'를 합성한 합성어입니다. 1992년 출판된 닐스티븐슨의 '스노 크래시'라는 SF소설속에서 최초로 등장한 개념입니다. '스노 크래시'에서 '메타버스'는 가상현실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말하는 '메타버스'는 현실.. 2023. 3. 20. 우주쓰레기, Space Debris 우주개발이후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우주쓰레기(Space Debris)에 요약해 보겠습니다. 인류는 1957년 최초로 스푸트니크 위성을 발사한 이래 2021년까지 6,370번 우주 로켓을 발사했습니다. 지금까지 우주에 올린 인공위성만 1만5,000여 기에 이릅니다. 이 중 아직까지 작동하는 위성은 절반 정도인 7,200여 기에 불과합니다. 나머지는 작동 불능 상태로 우주 쓰레기(SpaceJunk, Space Debris)가 되었습니다. 1. 우주쓰레기 우주쓰레기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수명이 다한 인공위성의 폭발입니다. 인공위성이 태양을 향하고 있는 면의 온도는 영상 120도, 반대쪽인 그늘 쪽은 영하 180도에 달합니다. 평소의 인공위성은 빙글빙글 돌거나 냉각수 파이프를 이용해 온도를 골고루 분산시키는데,.. 2023. 3. 19. 인공지능 반도체 NPU 인공지능 반도체 NPU '인공지능 컴퓨팅 비용이 눈물이 날 정도로 막대하다' 오픈AI 최고 경영자의 말입니다. 챗GPT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수익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이와 같이 말했습니다. 챗GPT에는 1만개가 넘는 엔비디아 'A100' GPU가 사용되었습니다. 다른 회사들이 개발하는 초거대 AI 또한 GPU 기반으로 작동됩니다. 직렬 처리 방식을 사용하는 중앙처리 장치(CPU)와 달리 병렬처리 방식을 통해 대규모 연산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막대한 연산을 짧은 시간 안에 처리해야 하는 초거대 AI의 특성 때문에 GPU중심의 체계로는 고전력, 고비용의 한계를 극복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비용과 전력소비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AI산업에 한계에 부딪힐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대.. 2023. 3. 15. 이전 1 ··· 81 82 83 84 85 86 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