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소금과 인간의 역사 03

by inniable 2023. 6. 20.

소금과 인간의 역사 03

인류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해수 증발, 염천의 가열, 암염 채굴의 방법으로 소금을 채취해왔습니다. 천일염은 미처 걸러내지 못하는 염화마그네슘과 염화칼슘으로 맛이 쓰며, 염천을 통한 소금은 천일염보다 품질이 좋아 가격이 높습니다. 소금은 인류에게 꼭 필요한 미네랄로 과거에는 매우 귀하였으며, 암염이 발견된 지역은 마을과 도시들이 형성되어 소금을 통한 부를 쌓기도 했습니다. 현재 이러한 지역들은 대부분 유명한 관광지입니다.

 

소금의 생산


인류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소금을 채취하고 생산해 왔습니다. 소금을 생산하는 방법은 크게 세가지(해수 증발, 염천의 가열, 암염 채굴)이고, 고대부터 현대까지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해수를 태양열로 증발하여 소금을 생산하는 천일염은 소금을 얻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입니다. 시간이 다소 많이 걸리기는 하지만 생산원가가 쌉니다. 그렇지만 인류역사 처음부터 해수를 태양열로 증발시켰던 것은 아닙니다. 고대에는 불이 붙은 석탄위에 해수를 뿌려 불이 꺼지면 석탄 위의 결정이 생긴 소금을 긁어 냈습니다. 해안가 바위에서는 많은 소금을 긁어낼 수 있었습니다. 이후 조수가 있는 곳에 사람들이 인공적으로 만든 염전(鹽田) 을 바닷물로 채워 훨씬 더 많은 소금을 생산할 수 있었습니다.

 

해수에서 얻게 되는 소금은 염천(鹽泉: 농도가 높은 소금물로 이루어진 지하수가 나오는 곳을 말하며, 가끔 해수 농도의 10배가 넘는 경우도 있습니다)의 소금이나 암염보다 품질이 떨어집니다.

 

해수 염류 농도는 약 3.5% 이지만, 염류의 2/3만 염화나트륨이고 1/3은 염화마그네슘과 염화칼슘의 혼합물입니다. 염화마그네슘과 염화칼슘은 염화나트륨보다 물에 더 잘 용해되고 함유량이 적기 때문에 해수를 결정화하면 염화나트륨이 가장먼저 분리됩니다. 이때 나머지 용액을 버리면 대부분의 염화마그네슘과 염화칼슘은 제거됩니다. 하지만, 여전히 일부의 염화마그네슘과 염화칼슘이 섞이기 때문에 해수로 만든 소금에서는 쓴맛이 납니다.

 

그래서 현대에는 해수를 증발시켜 만드는 천일염과 함께 해수를 정제해서 소금을 생산하는 방식인 정제염을 만들어 사용하기도 합니다. 염화나트륨이 약 80% 수준인 천일염에 비해, 정제염은 약 98%가 염화나트륨입니다. 국내에서는 한주소금(https://hanjusalt.co.kr, 한주소금 홈페이지)이 정제염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염천을 통해 생산되는 염천염은 염화마그네슘과 염화칼슘이 없어 염천염은 식품 보존 효과가 높고, 쓴맛이 없어 천일염보다 더 선호되었고 가격도 비쌌습니다.

 

암염(巖鹽, 광물 형태로 발견되는 소금)은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습니다. 암염은 바다를 이루었던 지형이 변하여 수세기 동안 바닷물이 말라서 형성된 것입니다. 소금이 워낙 귀해 철기 시대에 이미 유럽인들은 암염을 채취하기 위해 깊은 갱도와 터널을 뚫었고 당시 암염을 채취한 지형은 오늘날 거대한 동굴로 남았습니다. 소금 광산 주변은 사람들이 정착하기 시작했고, 마을과 도시가 형성되며, 소금경제로 부를 축적했습니다.

 

소금 경제를 이룬 도시


소금은 너무 귀한 나머지 하얀황금이라고 불렸습니다. 수세기 동안 향신료 무역 중심지였던 베네치아는 도시 생성 초기에 석호에서 추출한 소금으로 지역경제를 발전시켰습니다. hals는 소금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이고 Sal은 소금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잘츠부르크, 할레, 할라인, 라살, 할슈타트, 모젤 같은 유럽의 지명은 소금채취나 소금제조에 관련된 것들입니다. 터키 해안 지방에는 투즐라(Tuzla)나 이와 유사한 이름을 가진 마을이 많습니다. 투즐라는 소금을 뜻하는 터키어 투즈에서 유래한 이름입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소금 생산 지역에서도 투즐라라는 마을 이름을 볼 수 있습니다.

 

과거에 소금의 채취나 제조로 경제적 부를 이룬 도시들은 오늘날 관광 산업을 통해 부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잘츠브르크의 소금광산들은 주요 관광 자원이 되었습니다. 폴란드 크라코프 주변의 비엘리치카는 과거 소금광산이었던 거대한 동굴에 댄스홀, 예배당, 소금으로 조각한 조각상, 지하 호수 등을 만들어 수천명의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염전인 볼리비아 살라데 우유니에는 100퍼센트 소금으로 지은 호텔이 있습니다.

2023.06.20 - [역사] - 소금과 인간의 역사 04

 

소금과 인간의 역사 04

소금과 인간의 역사 15세기 스페인에서 쫓겨난 유대인들은 네덜란드의 척박한 토지에 정착하게 됩니다. 당시 절인 청어에 사용되는 소금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이베리아 반도의 천일염의 중개무

standstraight.tistory.com

2023.06.21 - [역사] - 소금과 인간의 역사 05

 

소금과 인간의 역사 05

소금과 인간의 역사 05 알람브라 칙령으로 인해 쫓겨난 유대인들은 네덜란드에 정착한 후 소금을 유통하였고, 절인 청어 산업을 확대시켰습니다. 이 산업은 척박했던 네덜란드 경제헤 활력을 불

standstraight.tistory.com

2023.06.21 - [역사] - 소금과 인간의 역사 06

 

소금과 인간의 역사 06

소금과 인간의 역사 06 한반도의 천일염은 아픈 역사중의 하나입니다. 일본제국은 한국의 노동력을 수탈해서 소금을 생산했고, 일제가 조성한 당시 한반도의 염전은 18,270,000평이었습니다. 염전

standstraight.tistory.com

2023.06.19 - [역사] - 소금과 인간의 역사 01

 

소금과 인간의 역사 01

소금과 인간의 역사 01 국내 대부분의 소금은 바다에서 생산된 천일염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예정으로 소금의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방사능이 인체에 미치는

standstraight.tistory.com

2023.06.19 - [역사] - 소금과 인간의 역사 02

 

소금과 인간의 역사 02

소금과 인간의 역사 소금은 우리몸에 필요한 필수 미네랄입니다. 필수적으로 하루 1g 이상 섭취하여야 하고, 현재 식습관으로는 하루 5~10g의 소금을 섭취하고 있습니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요즘

standstraight.tistory.com

 

반응형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금과 인간의 역사 05  (0) 2023.06.21
소금과 인간의 역사 04  (0) 2023.06.20
소금과 인간의 역사 02  (0) 2023.06.19
소금과 인간의 역사 01  (0) 2023.06.19
노블리스 오블리주, 우당 이회영  (0) 2023.04.18